ale의 Dockerfile 템플릿을 활용해 Dockerfile을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ale 의 템플릿 / 프리셋은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라이브러리만 사용합니다. Windows, Chrome 라이브러리처럼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는 경우, 예제 코드를 참고해 Dockerfile을 작성해서 배포하세요.


저장소와 템플릿 선택

대시보드의 또는 ⌘ + K 로 생성되는 배포창에서 Dockerfile 템플릿을 선택하고, 이어지는 드롭다운 메뉴에서 연동된 GitHub 계정의 저장소를 선택하거나 Git URL 탭에서 Git 저장소 URL을 입력하세요.

배포 설정과 배포

기본 설정

  • Environment variables(ENV) :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참조되는 환경변수

  • Build arguments(ARG) : 이미지를 빌드할 때 참조되는 인자

  • Port :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대상포트로, docker run 명령어의 -p, --publish 옵션에 적용되는 인자

  • Health Check : 컨테이너 상태 검증 엔드포인트

  • Start commands : 컨테이너 시작 명령어

더 많은 옵션

  • Dockerfile text : Dockerfile의 전체 내용 입력

  • Build Labels(LABEL) : Dockerfile로 컨테이너 이미지 빌드 시 버전, 라이센스 등 추가 정보 주입

  • uid : 컨테이너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고유한 식별자(기본값 1000)

  • gid : 컨테이너에서 프로세스가 속한 그룹의 고유한 식별자(기본값 1000)

  • Update strategy

    • Rolling Update : 새로운 버전의 서비스 배포 시점에 기존 파드 종료, 노드 가용자원 확보 필요
    • Recreate : 모든 서비스 종료후 새로운 버전의 서비스 생성 및 구동, 다운타임 발생
  • Shell : 컨테이너가 실행된 후 실행할 쉘(sh, bash, zsh 등)

성능(리소스) 설정과 배포

  • 리소스 유형 : 온디맨드와 스팟 리소스 중 선택

  • CPU : 서비스가 사용할 vCPU 리소스의 최대값을 설정하며, ‘최소 vCPU’ 선택 시 0.1 vCPU 사용

  • 메모리 : 서비스가 사용할 메모리 리소스의 최대값을 설정

  • 동시실행(레플리카) : 설정한 수만큼 서비스가 수평확장되어 부하 분산 및 안정성 확보

  • 배포 : 배포하기 클릭

리소스 제한으로 배포할 수 없는 경우 스페이스 및 리소스 관리 페이지를 참고해 스페이스에 리소스를 추가하세요.

로그와 터미널

서비스 카드 또는 상세페이지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배포/실행로그 조회 또는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메트릭

서비스 상세페이지의 메트릭 탭에서, 서비스의 메트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재배포(업데이트)

코드 수정, 리소스 변경 등 업데이트할 내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상세페이지 설정탭 하단부의 배포하기를 클릭하면 업데이트를 반영한 새로운 배포가 진행됩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GitHub Actions 적용은 GitHub Actions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롤백(복원)

서비스 상세페이지의 배포내역탭에서 이전 버전의 서비스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복원할 버전을 혼동하지 않기 위해, 커밋 메세지를 확인하세요.

언어별 참고 예제 코드